셸리네 이야기들

소중한 독자와 작가, 북크루의 공간입니다. 궁금 한 조각, 아이디어 한 덩이, 감동 한 동이... 모두 환영합니다.

시즌1

저는 고양이가 아닌, 닭을 구해준 경험이 있습니다...;

하얀연필2020.03.10 15:58조회 수 180추천 수 2댓글 3

 

페이스북에 쓴 시점을 보니, 2014년도 일이네요. 

 

닭을 구해준 경험을 공유해봅니다.

 

<닭줍>

준범이형 카톡 프로필에 난데없이 고양이가 등장했다. 왠 고양이냐고 물었더니, 짧게 ‘냥줍’이라고 답장이 왔다. 0.5초 정도 멍 때리다 길냥이를 주웠다는 걸 알게 됐다. 퇴근길에 집에 가는데 왠 고양이가 자기를 따라왔단다. 불쌍해서 먹을 걸 줬더니 집에 들어와 버렸다나? 근데 이놈의 고양이가 웃긴 게 준범이형이 조금만 자리를 떠도 울어대며 따라다닌단다. 준범이형이 샤워를 하거나, 이빨을 닦거나, 심지어 화장실에서 똥을 때리고 있을 때도 고양이는 옆 자리를 지킨다고 했다. 나 같으면 화장실에서 똥을 싸고 있을 때는 옆에 있기 싫을 것 같은데…. 암튼 고양이가 세탁기 위에 올라갔다가 변기로 빠지는 등 천방지축이라 키우는 재미가 쏠쏠하다고 했다. 부러웠다. 난 집에서 개 두 마리만 키우니까.

 

생각해보니, 난 ‘냥줍’의 경험은 없지만 ‘잉줍(잉꼬)’, ‘개줍’, ‘두줍(두더지)’, ‘고줍(고슴도치)’, ‘오줍(오리)’, ‘박줍(박쥐)’ 등등 수많은 ‘줍’의 경험을 해온 것 같다. 며칠 전 여기에 목록을 하나 추가하게 됐다. 추가 된 목록의 이름은 ‘닭줍’!

 

엊그제 영화관에서 명랑을 보신 부모님을 태우고 새벽길 도로를 운전하고 있었는데, 집 근처 도로 한 가운데에 왠 뚱뚱한 새가 있더라. 작년 겨울 쯤 집 근처에서 고라니와, 그것도 5미터 앞에서 마주치고는 식은땀을 흘린 적이 있었는데(처음에 곰인 줄 알고 당황해서 흘린 식은땀임.) 새는 무서워할 동물이 아니므로 일단 멀찍이 차를 세웠다. 가만 보니 새가 닭의 형상을 띄고 있는 것 같았다. 순간, 우리 아빠가 차 문을 열더니 ‘닭이다~!’를 외치며 신난 목소리로 새를 향해 돌진했다. 닭은 도망치지 못했고, 결국 아빠의 손에 붙잡혔다.

 

근데 문제가 생겼다. 닭이 온갖 분뇨로 얼룩져 있어 더러웠을 뿐만 아니라, 냄새 또한 무척 심했던 것이다. 이상하게도 아빠 손에 사로잡힌 닭은 몸에 힘도 없고, 제대로 움직일 줄도 모르고 있었다. 아… 닭은 오랫동안 갇혀 지내다가, 어딘가로 실려 가던 중 차에서 떨어진 게 분명했다. 순간 닭이 너무나 불쌍해졌다. 나는 순진하게도 처음에는 닭을 잡아서 삼계탕을 해먹을 생각이었는데, 그런 생각이 순간 사라져버린 것이다.

 

닭이 너무 더럽고 냄새가 심해서, 차에 싣고 집까지 가져오는 게 쉽지만은 않았다. 집에 가져오니, 집에 있던 럭키와 제니가 대문으로 뛰쳐나왔다. 대문 안으로 들어서자마자 세퍼드인 제니가 아빠 손에 들린 닭을 향해 껑충껑충 뛰어올랐다. 제니는 평소 호기심이 많았다. 평소 고양이나 쥐, 두더쥐, 두꺼비, 청개구리 등 온갖 것들을 물어 죽여 말썽을 자주 피운 제니. 하지만 신기하게도, 제니는 어치나 까치 참새 같은 새들에게는 아무런 피해를 주지 않았다. 심지어 새들이 개밥 부스러기를 주워 먹으러 자기 밥그릇 위에 올라앉아있을 때도 제니는 가만히 새들을 쳐다보기만 했다.

 

닭도 날지 못할 뿐이지 어찌됐건 새인데다, 아빠가 한참동안은 손에 들고 있었으므로, 나는 설마 제니가 닭을 물기야 할까 싶었다. 아빠가 어찌됐든 닭은 마당에 풀어놓고 키워야 한다며 제니 앞에 살며시 닭을 내려놓았는데 제니가 자꾸만 닭을 물려고 하는 것이 아닌가. 닭이 자꾸만 도망을 치기에 결국 아빠는 비닐하우스 안에 닭을 넣어두어야만 했다. 밤새 제니는 비닐하우스 안으로 빼꼼히 고개를 내밀며 닭이 뭘 하나 지켜봤다.

 

다음날, 아빠는 비닐하우스에 있던 닭을 울타리가 쳐진 블루베리 밭에 놓아두었다. 아빠는 울타리가 있어 제니가 닭을 죽이진 못할 거라 생각했나보다. 그런데 제니가 닭이 울타리 밖으로 엉덩이를 내민 틈을 타 잽싸게 닭의 엉덩이를 물어버렸다. 다행히 닭은 엉덩이 털만 뜯겼는데, 그 이후로 닭은 울타리 근처에는 얼씬도 하지 않았다. 제니는 울타리 주위를 맴돌며 계속해서 닭을 감시했다.

 

실은 닭을 키울 곳이 마땅치가 않아 닭을 가져오는 동안에도 수 없이 고민했다. 닭을 자연에 다시 돌려주려고도 생각했는데, 이러다가는 차에 치여 죽던지 아니면 굶어 죽을 것 같았다. 우리 동네에 닭을 키우는 사람이 있다면 가져다 줬을 텐데…. 닭에게는 미안하지만, 우리집에서 닭이 살아갈만한 유일한 장소는 울타리가 쳐진 0.5평 남짓의 블루베리 밭뿐이었다.

 

닭은 준범이형의 고양이와는 다르게, 얌전히 울타리 안에 앉아만 있다. 그나마 다행인 건, 처음에 비해 닭이 조금씩 돌아다니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이 닭은 암탉인가 수탉인가? 생긴 걸 보아하니 암탉이 분명한데, 암탉이라도 알을 낳을 수 있으려나 모르겠다. 길에서 ‘줍’한 닭이 어서 기운을 차리고 건강한 암탉이 되어, 우리 가족에게 날마다 일용할 계란을 주었으면 좋겠다.

 

‘닭줍’을 한 게 기쁘다. 어찌됐건 길냥이나 유기견을 집에 데리고 오는 경우는 있어도, 닭을 집에 데리고 오는 경우는 드물 테니까.

 

준범이형한테 카톡을 보냈다. “형 나 오늘 닭줍 했삼.”


준범이형은 한 동안 이해를 못하더니, 상황을 알게 되곤 ‘ㅋㅋㅋ’을 남발했다.

 

‘닭줍?’'아 닭줍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닭줍’같이 뜬금없지만 조용히 미소짓게 하는 일이 계속해서 일어났으면 좋겠다. 더불어 우리 집에서 같이 살게 된 닭도 건강해지고 말이지.

댓글 3
  • 2020.3.10 17:31

    선생,

     

    독자들을 위해 글을 나르는 것은 고양이에게 즐거운 일이외다. 그런데, 글을 전해주다가 또 글을 받게 될 줄 누가 알았겠소? 최근 며칠 동안 이렇게 기뻤던 날이 있었나 싶소. 이에 더해 닭을 구해준 심성 선한 선생과 얼굴을 맞대니, 더 기쁠 도리가 달리 있겠소?

     

    선생, 나는 책장 위 고양이인 고로 외출은 작파한지 오래지만, 밖은 봄비가 내리는가 보오. 강녕하시오.

     

    셸리

  • @Shelley
    2020.3.10 18:42

    셸리.

    설마, 즐기는 기쁨의 이면에 심성 선한 선생의 줍닭을 탐내고 있는 건 아니오?

  • @노턴
    2020.3.10 23:02

    출타하기도 귀치 않아 하니 선생의 《줍닭》에 부러움을 느낄 까닭도 없지 않겠소?―그나저나, 요즘 사람들은 글월에서 《ㅎㅎㅎ》 이렇게 웃는다고 들었소. ㅎㅎㅎ

댓글 달기

셸리네 이야기들

소중한 독자와 작가, 북크루의 공간입니다. 궁금 한 조각, 아이디어 한 덩이, 감동 한 동이... 모두 환영합니다.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시즌2 핫펠트 작가의 소설, 셸리를 통해 최초 발표1 아돌 2021.02.04 2689 5
116 시즌4 어쩌면 미움은.. 어떻게든 이해하고팠으나 실...1 정인바라기 2021.05.21 756 3
115 시즌4 '나' 사랑하기1 능이 2021.05.26 663 2
114 시즌4 이서희 작가님의 어쩌면, 행복한 운명론자를 읽고 바켄두잇 2021.05.27 804 5
113 시즌4 섬유유연제가 정의하는 나란 사람1 에제르 2021.06.01 775 5
112 시즌4 어느덧 여름4 매듭달 2021.06.08 892 5
111 시즌4 왔다가 갔다가 다시 와야하는 꿈2 에제르 2021.06.09 897 3
110 시즌4 다정한 다름, 눈물이 나요.1 에제르 2021.06.18 817 3
109 시즌4 복실이를 읽고 가슴이 먹먹하네요.ㅠㅠ 이수아 2021.06.22 716 0
108 시즌4 하늘에 구멍이 뚫렸나봐요! 🌨1 바켄두잇 2021.06.28 798 1
107 시즌4 황보름 작가의 에세이 <언니들이 있었다&gt... 이수아 2021.06.30 828 0
106 시즌4 코로나 확진자가 천명을 넘었네요 ㅠ2 바켄두잇 2021.07.07 1019 2
105 시즌4 신유진 작가님의 <끝 그리고 시작> 을 ... 이수아 2021.07.20 911 2
104 시즌5 밀린 에세이를 읽었습니다 이수아 2021.11.15 813 2
103 시즌5 ‘토코와 나’의 책2 2021.11.16 832 1
102 시즌5 김복희 시인님과 나의 소망이 이루어 지기를2 이수아 2021.11.22 1070 2
101 시즌5 낙엽. 눈 감귤김치 2021.11.23 781 1
100 시즌5 송재학 시인님의 부계가 포항이었군요. 제 모... 이수아 2021.11.27 948 1
99 시즌6 첫 번째 에세이 부터 저를 말하는 줄 알고 괜... 이수아 2022.01.04 89 3
98 시즌6 겨울엔 군고구마와 김치를 먹고 뜨개질을 하면...3 이수아 2022.01.05 110 1
97 시즌6 우리는 서로의 큐피드!4 오즈 2022.01.05 504 4
96 시즌6 나의 큐피드는 어디에?(이은정작가님 편지를 ...3 산골아이 2022.01.05 173 2
95 시즌6 마음만은 게을러지지 말자!4 영배알고싶다 2022.01.05 193 3
94 시즌6 내 큐피트는 어디에(?)4 이현미 2022.01.06 164 3
93 시즌6 시즌 6 셸집사님들 안녕하세요! 김민섭 작가입...8 아돌 2022.01.06 172 4
92 시즌6 얼음조각 같았던 차무진 작가님의 글4 이수아 2022.01.06 115 4
91 시즌6 우리는 큐피드를 만나야 한다. :)5 떠나 2022.01.06 117 6
90 시즌6 코로나가 창궐할 줄 알았더라면 캐나다를 다녀...3 이수아 2022.01.07 100 3
89 시즌6 패딩의 계절이 돌아왔네…❄️1 복동 2022.01.09 74 3
88 시즌6 시장 떡볶이, 붕어빵, 찹쌀떡, 어묵, 호떡, 풀...1 이수아 2022.01.10 119 3
87 시즌6 서로의 눈물나는 맛에 대하여 읽고서 적어봐요:)3 떠나 2022.01.10 109 3
첨부 (0)